티스토리 뷰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이 얼마가 될지는 사람마다 다릅니다.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나 국민연금공단 모바일 어플에서 자신이 미래에 받게 될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을 간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그 방법을 자세히 알아볼까요?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국민연금은 18세 이상 60세 미만 국민은 누구나 가입할 수 있습니다. 60세가 되기 직전까지 납부하고, 수급연령부터 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데요. 국민연금 수령액은 각자의 국민연금 가입기간과 평균 소득액에 따라 달라집니다. 또 최소 가입기간 10년을 채워야만 수급 나이가 되었을 때 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표
국민연금은 가입기간과 가입기간 동안의 평균 소득을 전체 국민연금 가입자의 평균소득을 기준으로 지급합니다. 2021년 기준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표를 아래에서 확인해 보시 바랍니다.
보시는 것처럼 가입기간은 10년, 15년, 20년, 25년, 30년, 35년, 40년으로 나뉘어 있고 기간별로 월평균 소득에 따라서 수령하게 될 대략적인 연금이 결정됩니다.
연금보험료는 소득의 9%입니다. 직장인은 회사와 반반씩 납부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4.5%만 납부하게 되는 것이고요.
표 보는 법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예를 들어 소득이 200만원이면,10년만 납입했을 시 연금은 약 24만 원, 20년 납입했을 시 약 46만 원, 30년 납입했을 시 약 68만 원, 40년 납입하면 약 91만 원이 됩니다.
국민연금 평균 수령액
2020년 기준 국민연금 평균 수령액은 어떻게 될까요?
그 전에 먼저 2020년 기준 현재 개인 최고 연금액을 받으시는 분의 국민연금 수령액은 226만 9천 원입니다. 이건 1인의 경우이고, 부부 최고 연금액은 382만 원이라고 합니다. (*출처: 국민연금공단 자료)
국민연금에 가입한 기간에 따른 국민연금 평균 수령액은 아래 표에서 보시는 것과 같습니다. 2020년 말 기준으로 했을 때, 10년 이상 가입한 사람은 연금 수령액이 평균 54만 원, 20년 이상 가입 시 93만 원, 30년 이상 가입 시 136만 원입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방법 2가지
본인이 국민연금을 얼마나 수령할 수 있을지 예상수령액은 홈페이지나 모바일 어플에서 손쉽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두 가지 방법 모두 본인 인증만 거치면 곧바로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홈페이지
먼저 국민연금 다음이나 네이버에 '국민연금공단'을 검색한 후,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들어갑니다.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첫 화면 상단에 파란색 메뉴가 보이는데요. 여기서 '내 연금(노후준비)'를 누릅니다.
그럼, '내 연금(노후준비)' 페이지로 이동됩니다. 아래 화면인데요. 여기서 오른쪽 중앙에 주요 서비스 메뉴에서 '국민연금 예상액'을 누릅니다.
이렇게 누르면 아래와 같이 공인인증서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라는 작은 팝업창이 뜹니다. 본인의 정확한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조회하기 위해서는 로그인을 해야 하는데요.
로그인 방식은 생각보다 번거롭지 않습니다.
다행히 공동인증서가 없어도 네이버 인증과 카카오페이 인증으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공동인증서를 다운로드하여놓으신 분은 그대로 사용하셔도 되고, 귀찮다고 생각하신다면 네이버와 카카오페이로 인증할 수도 있습니다.
저는 예시로 '네이버 인증 로그인'을 해보았는데요. 중간에 있는 '네이버 인증 로그인'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초록색 버튼이 뜹니다. 이 초록색 버튼을 누릅니다.
그럼 네이버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로그인하라는 화면이 나옵니다. 네이버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본인 휴대폰으로 네이버에서 알림이 옵니다.
인증 요청을 확인한 후(저는 페이스 ID로 등록되어 있어서 자동으로 인증이 되었습니다) 다시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로 돌아오면, 자동으로 로그인이 됩니다.
로그인이 된 건지 확인하려면, 홈페이지 오른쪽 제일 위쪽을 보시면 아래 그림처럼 '로그아웃'이라고 쓰여 있는지 보시면 되는데요. 현재 로그인이 되어있다는 뜻입니다. '로그아웃'을 누르면, 다시 로그아웃이 된다는 말이거든요.
이렇게 로그인이 되면, 처음에 알려드린 대로 '국민연금 예상액'이나 '내 연금 알아보기' 메뉴로 가시면 바로 본인의 국민연금 예상액이 조회되어 나옵니다.
2. 휴대폰
컴퓨터 말고 모바일 어플로도 간단히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그 방법도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먼저, 구글 플레이스토어 또는 앱스토어에서 '내 곁에 국민연금'을 검색해 어플을 다운로드합니다. 아래와 같이 생긴 어플입니다.
어플을 다운로드하시면 아래와 같은 첫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중간에 '노후준비' 메뉴에서 '내 연금 알아보기'를 누르면, 국민연금 수령액을
어플에서도 마찬가지로 로그인을 해야 하는데요. 방식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때와 똑같습니다.
어플에서는 공동인증서, 네이버인증, 카카오페이 인증, 그리고 한 가지 더 추가로 금융인증서도 있네요. 이 중에서 본인이 편한 방식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로그인만 하시면, 홈 화면에 자동으로 본인의 예상 수령액이 나타납니다.
이 밖에 홈페이지나 모바일 어플에서 다른 서비스들을 이용하실 때도 로그인만 하면 모두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전화번호
국민연금과 관련해서 상담이 필요하거나 물어보고 싶은 사항이 있으시면 아래 번호로 전화해보셔도 됩니다.
국민연금 전화번호: 국번 없이 1355
오늘은 이렇게 자신의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조회해보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